모든 물체는 고유의 색과 빛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간의 눈은 그 색과 빛의 차이를 정확하게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로 인해 여러 분쟁이 생기기도 하고 작업이나 제조 과정에서 차질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그런 부분을 위해 색과 빛을 수치화 해주는 측정기인 색차계와 광택계가 있습니다.
색차계와 광택계
색차계 色差計 Colorimeter
색의 차이를 계측하는 기기입니다.
노랗다, 빨갛다, 파랗다.. 색이라는 것이 한 단어로 정의할 만큼 단순한가?
똑같이 노랗다 라고 표현하지만 그 노랗다 마다의 차이는 분명히 있습니다.
그럼 그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색차계를 이용해 색을 데이터화 해야 합니다.
그 단위가 바로 L*a*b* 입니다.
육안으로는 해결되지 않은 분쟁 또한 색깔을 데이터화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광택계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광택계 光澤計 Glossmeter
광택을 계측하는 기기입니다.
광택계는 여러 유광, 무광 제품들의 광택값이나 크롬, 코팅 소재의 광택,
자동차 유리막 코팅이나 광택 작업 전후의 광택값 비교 등 다양하고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색차계 광택계 활용 범위
실제 사례를 예로 들면, 청소업체 사장님으로부터 문의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유리가 청소전과 달라진게 없다고 컴플레인이 들어왔는데 명확하게 증명할 방법이 필요하신 상황이였습니다.
유리라고 하면 청소하기 전과 후의 투과하는 빛의 양이 서로 다르겠다는 생각에 광택계를 제안해드렸는데요.
육안으로는 식별이 힘들지 몰라도 측정값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청소전과 후가 명확한 사진으로 예를 들면 육안으로도 식별이 가능하지만 광택계로 측정을 했을 경우 어떤 결과가 있을까요?
TO40 – 66.4, TO41 – 65.6은 먼지가 쌓여있는 부분의 측정값이고 동그라미 표시가된 80.9값은 청소가 된 부분을 측정한 값입니다.
이렇게 청소전과 후의 측정값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위에 사용된 제품은 HG60 제품으로 60도의 각도에서만 측정했지만
빛의 특성상 각도에 따라 광택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HG268 제품은 20도 60도 80도에서 측정하여 좀 더 세분화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이 있다면 날씨나 주변 환경에 따라서 빛의 양이 다르니 그 부분 또한 참고해야 할 것 같습니다.
비슷한 컴플레인에 많이 시달리시는 분들은 광택계나 색차계를 소지하고 다니시면 든든하시지 않을까요?
자동차의 광택 작업 이후 광택이 어느정도 증가했는지를 수치로 증명하기위해 필요한 제품이기도 합니다.
색차계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페인트 원재료의 품질 관리, 차량 도색으로 인한 보험사와의 분쟁,
자동차 및 여러 제품의 도장, 랩핑, 페인트 그리고 인쇄물이나 표지판 등 색의 차이와 기준이 되어야 하는 색과의 차이값이 필요하다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3nh 색차계 광택계 사용방법
대부분의 측정기에는 영점이라는게 있습니다. 정말 중요한 부분이죠.
색차계와 광택계 또한 측정하기 전에 영점을 맞추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요.
사진에 보이는 3nh HG60 모델은 제품 하단 케이스 내부에 영점 스티커와 영점판 부착되어 있습니다.
영점판을 측정했을 때 100.7의 값이 나와야 정상이라는 뜻 입니다.
해당 제품은 자동 영점 설정 기능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고 측정 버튼을 클릭하면 측정값이 표시됩니다.
굉장히 있어보이게 설명드리고 싶지만 정말 간단한 제품이라 더 이상 설명드릴 부분이…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광택계 색차계 렌탈 서비스
산업 현장이외에 어쩌다 필요한 경우가 생기는 분들은 한 번, 두 번 사용하기 위해서 색차계나 광택계를 구매하기에는 망설여지는게 사실입니다.
아무래도 투자 대비 활용도가 적절한지 고민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고객분들을 위해서 게이지월드에서 렌탈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렌탈 대상 제품은 공식 협업 브랜드인 3nh의 제품을 한정으로 렌탈이 진행됩니다.
렌탈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거나 아래 이미지에 기재된 연락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